여성알바의 변천사 고전시대의 기생
여성알바, 여자알바, 그리고 기생

여성알바, 오늘날은 여러 다른 유형으로 불리운다. 시대가 변모함에 따라 룸싸롱알바, 노래방알바, 화류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변하였으며, 최근에는 언니들이란 말로 불리우기도 한다.
기생은 관기, 민기, 약방기생(원래는 의녀), 상방기생 등 예기의 총칭이다.
기녀라고도 한다. 일패, 이패, 삼패 기생을 모두 통틀을때는 ‘덥추’라고도 불렸다.
영어로 번역하자면 courtesan에 대응한다. 단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코르티잔은 귀족, 왕족들을 상대하거나 후원을 받는 대가로 성과 유흥(춤, 교양)을 제공하는 고급 매춘부이자 이들의 정부에 속했기에 공식적으로 매춘부가 아닌 기생하고는 대응되지 않았다.
현대인들에게는 단순히 고소득알바처럼 인식되는 것과 달리, 실제로는 상당히 광범위한 개념이었다.
왕족, 양반, 중인, 평민, 천민으로 분류되는 조선의 5가지 신분 중에서 기생은 가장 낮은 신분인 천민에 해당되었다.
잔치나 술자리에서 노래나 춤 또는 풍류로 흥을 돋우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여자를 뜻하는 말로, 기본적으로는 유흥과 접객이 중심이였기에 그들의 불법 행위는 크게 다루지 않겠다.
즉, 급이나 개인의 형편 등에 따라 지성과 미모를 겸비한 연예인에서 단순 기생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였던 것이다.
기생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왕족이나 양반, 부자들을 주로 상대하는 일패나 이패 기생들은 현대로 치면 톱 연예인인 만큼 함부로 건드리는 게 부담스러울 정도라 한다.
이런 기생은 사실상 양인으로 취급하였으므로, 외국의 외교관을 접대하는 업무를 맡기도 하고, 은퇴 후에는 기방의 행수가 되거나 일반인과 결혼하기도 했다.
즉,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접대부 정도로만 이해하면 오산이라는 얘기다.
기생의 분류
- 일패기생: 오직 임금 면전에만 노래와 춤을 하는 기생이다. 개인에 따라 유부녀도 존재했다.
- 이패기생: 관기와 민기로 나뉘며 관기는 문무백관을 상대하며 민기는 일반 양반을 상대하며 노래와 춤을 춘다.
다른 의미로의 기생 그리고 오늘날의 여성알바

또한 예술에 중점을 두던 기생들도 존재 하였는데, 성종실록에도 유녀의 음란한 짓을 금지한다는 기록이 있다.
고급 기생들은 각자 집과 상당한 재산을 가지고 있었으며 결혼도 했다. 일패의 경우 궁궐에도 출입했다.
양반들은 자신의 후원에 따로 부르거나 교외로 나가서 춤과 음악을 즐기거나 학문이나 시, 글, 그림 등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고 하는데, 양반들조차 어지간한 명망이 있는 게 아니면 일패기생을 쉽게 부를 수 없었다 한다.
주된 고객층은 상류층이었기 때문에 춤, 노래, 시조, 화예, 학문 등 수많은 예를 겸해야 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이를 관리하는 ‘기생청’이 존재했을 정도이다.
삼국시대에도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틀이 잡힌 것은 고려와 조선 시대인데, 각종 정치 제도와 사교적인 자리에 예인이 동원되다 보니 국가 차원에서 종합 예술인을 양성했다고 한다. 정부에서 재능, 성격, 인격의 고매함까지 육성하는 엄격한 교육을 관장했다.
일단 기예가 뛰어난 기생이라면 신분이 천민이라도 지식인으로 인정받는다.
애초에 높으신 분들을 매일 같이 만나야 하는데 교양 없는 천것들을 쓸 리가 없다. 아무리 삼패기생이어도 일단 낮은 수준의 기예나마 보장되어 있었으며, 이들조차 아무나 만날 수 없었다. 가장 낮은 삼패라도 만나려면 돈이 꽤 필요했다.
오늘날 흔히들 이야기하는 텐프로, 쩜오 같은 밤알바에서도 아무나 일을 할 수 없다, 철저한 자기관리, 마인드, 지식 등 여러 부분에 뛰어난 여성알바가 아니면 쉽사리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늘 미수다에서는 여성알바, 그리고 고전시대의 기생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더많은 유익한 정보는 미수다 사이트에서 커뮤니티와 실전노하우를 통해 확인 하길 바란다.